군사 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사 학교는 군 조직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원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지휘관 양성을 위한 사관학교, 전술 및 전략 교육을 위한 학교, 전문 분야 교육을 위한 학교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국가, 시대, 조직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다르다. 오래전부터 군사 교육은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특히 지휘관 및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주요 국가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 등 각 군별로 간부 양성을 위한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학교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학교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는 1939년 만주국군 정규 군관 양성을 목표로 신징에 설립된 4년제 군관학교로, 다민족 학생들을 교육했으나 만주국 멸망과 함께 해체되었고 졸업생들은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여 사회 요직을 맡기도 했지만 친일 논란과 역사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 군사 학교 - 러시아 군사 종합 아카데미
러시아 군사 종합 아카데미는 소련 붕괴 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등을 통합하여 설립된 러시아군의 고등 군사 교육 기관으로, 고등 장교 양성 및 고급 전문 교육을 제공하며 2008년 추가 통합을 거쳐 현재는 러시아 육군 총사령관의 지휘를 받는다.
군사 학교 | |
---|---|
군사 학교 | |
![]() | |
개요 | |
유형 | 교육 기관 |
목적 | 장교 및 병사 양성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 로마 |
발전 | 중세 유럽의 기사 양성 기관 |
현대 | 18세기 이후 국가 주도 군사 교육 시스템 |
특징 | |
교육 내용 | 군사 훈련 전술 전략 군사학 리더십 체력 단련 |
규율 | 엄격한 규율과 통제 |
문화 | 명예 충성심 희생 정신 강조 |
종류 | |
사관학교 | 장교 양성 |
부사관학교 | 부사관 양성 |
병 훈련소 | 신병 훈련 |
국가별 현황 | |
미국 | 육군사관학교 (웨스트포인트) 해군사관학교 (애너폴리스) 공군사관학교 (콜로라도스프링스) |
프랑스 | 생시르 육군사관학교 |
러시아 | 수보로프 군사학교 나히모프 해군학교 |
대한민국 |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청주) 육군3사관학교 (영천) 국군간호사관학교 |
기타 | |
참고 | 군대 |
2. 군사 학교의 발전과 역할
군사 조직은 그 질을 높이고 유지하기 위해 구성원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은 교육대나 기타 부대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일부는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실시한다. 지휘관이 될 사람에게는 부하를 통솔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소양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사관학교와 같은 보충 학교가 설립되어 양성 교육을 실시해 왔다. 또한, 상급 지휘관이나 참모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고도의 전술과 전략을 교육하는 학교[4]를 설립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구성원의 역할과 운용 방법이 다양해지고, 각각 특화된 것에 대응하거나 사용하는 기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전문 학교를 설립하여 수준 높은 교육을 실시한다. 포병 학교, 경리 학교, 기관 학교, 통신 학교 등이 그 예시이다. 군 학교의 종류나 명칭은 국가, 시대, 조직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군사 학교는 원칙적으로 군사 조직의 일부이므로 교육 대상자의 신체 검사 기준 및 규율은 조직에 적합해야 한다.
군사 학교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조직 구성원 또는 구성원이 될 사람에 대한 교육이지만, 일반 대학과 마찬가지로 전문 연구를 하거나 출판물을 발표하기도 한다.
육군의 교육은 초기에는 병부성을 계승한 육군성이 관리했고, 1887년 6월부터 감군부가 담당했다. 1898년 1월부터는 감군부를 폐지하고 교육총감부를 설치하여 담당했다. 육군의 학교는 항공 관계 학교가 설립될 때까지 대부분 교육총감부의 소관이었다. 경리부, 위생부 등 각 부의 학교와 헌병과와 기술 종사자(1940년에 기술부)의 학교는 육군성 소관이었다. 참모를 양성하는 육군대학교는 참모본부 소관이었고, 육군 나카노 학교는 육군성 소관 학교로 설립되었지만, 1942년 4월부터 참모본부가 관할했다[12]。
항공 관계 학교는 1919년 4월, 육군 항공 학교와 함께 설치된 육군 항공부가 관할했고, 1925년 5월, 육군 항공부는 육군 항공 본부가 되어 관할을 계승했다. 1938년 12월, 육군 항공 총감부가 설립되자 항공 관계 학교는 육군 항공 총감부의 소관이 되었다. 1941년 4월, 육군성 외청에 육군 기갑 본부가 설치되어[13], 육군 기병 학교와 자동차, 전차 관계 학교는 육군 기갑 본부가 관할했다.
육군에서는 장교 혹은 하사관이 될 사람에게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를 "'''보충 학교'''", 군인에게 특별한 기술이나 지식을 교육하는 학교를 "'''실시 학교'''"라고 불렀으나[14][1], 양쪽 기능을 갖춘 학교도 있어 명확하게 규정된 것은 아니었다[1]。
학교에서의 교육 대상자는 학생, 생도, 하사관 후보자 등이 있었고, 학교에 들어가는 것을 입교라고 했다. 교육 수료 후 학교를 떠나는 것은 졸업 외에 퇴교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15][16]。
해군은 육군의 교육총감부에 상당하는 천황 직할의 교육 통괄 기관이 없었고, 해군성이 교육도 담당했다. 1900년 5월, 해군교육본부가 설립되어 해군의 여러 학교를 관할했지만, 1923년 4월에 규모를 축소하여 성내의 교육국이 되었다[17]。 이후, 해군의 학교는 해군성 소관 학교와 각 진수부 소관 학교로 나뉘었다[18]。
해군병학교, 해군기관학교, 해군경리학교는 "'''해군 삼교'''"라고 불리며[19], 사관 양성 교육을 실시했다. 해군병학교는 수험 시 맨눈 시력 1.0 이상이 합격 기준이었지만, 해군경리학교는 안경 등을 사용한 교정 시력 1.0 이상을 허용하여[20], 시력이 낮은 해군 사관 지망생들에게 인기가 있었다[21]。
육군의 "실시 학교"에 해당하는 것이 해군에서는 "'''술과 학교'''"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도 공식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속칭이다. 학교 설치 법령은 칙령에 의해, 교육 내용은 관방 통달에 따랐다[22]。
2. 1. 현대 군사 학교의 역할
군사 조직은 그 질을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구성원 교육이 중요하며, 이러한 교육은 교육대나 기타 부대 등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일부는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을 실시한다.[2] 지휘관이 될 사람에게는 부하 통솔에 필요한 지식과 소양을 가르치기 위해 오래전부터 사관학교와 같은 양성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또한 상급 지휘관이나 참모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고도의 전술과 전략을 교육하는 학교도 설립되었다.[4]이 외에도 구성원의 역할과 운용법이 다양해지고, 각각 특화된 것에 대응하거나 사용하는 기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전문적인 교육을 위한 학교가 설립되었다. 예를 들어 포병 학교, 경리 학교, 기관 학교, 통신 학교 등이 있다. 이러한 군사 학교의 종류나 명칭은 국가, 시대, 조직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군사 학교는 군사 조직의 일부이며, 교육 대상자의 신체 검사 기준 및 규율은 조직에 적합해야 한다.
군사 학교의 주된 목적은 조직 구성원 또는 구성원이 될 사람에 대한 교육이지만, 일반 대학처럼 전문 연구를 하거나 출판물을 발표하기도 한다.
3. 주요 국가의 군사 학교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무사와 그 자제에 대한 교육을 별도로 실시했다. 육군의 학교는 1868년 (메이지 원년) 음력 7월 교토부에 병학교가 설치된 것이 시초이다.[8][9] 이 때 "병(兵)"은 병사가 아닌 군사(병학)를 의미하며, 장교와 하사관[10]을 양성했다. 이듬해 병학교는 병학소로 개칭된 후 오사카부오사카 다마쓰쿠리로 이전되었고, 다시 병학료로 바뀌어 사관생도를 교육하는 청년사와 유년생도를 교육하는 유년사로 나뉘었다. 1872년 (메이지 5년), 병학료는 도쿄부로 이전했고, 1874년 (메이지 7년) 8월에 독립하여 육군사관학교가 되었다. 폐번치현 이전에는 슨푸번 (시즈오카번)이 누마즈 병학교를 열어 번사의 자제를 교육하기도 했다.
해군은 1869년 (메이지 2년) 음력 9월, 병부성이 도쿄부 쓰키지에 해군조련소를 설치하여 해군수업생을 교육했다. 해군조련소는 이듬해 해군병학료로 개칭되었고, 1876년 (메이지 9년) 8월 해군병학교가 되었다.[8] 이후 육군과 해군 모두 많은 학교를 설치하여 교육과 연구를 실시했다. 육해군 학교는 학비가 무료였고,[11] 학생에게는 매월 수당까지 지급되었기 때문에, 자산이 없는 집안의 자제에게는 경제적 부담 없이 고등관인 육군 장교, 해군 장교, 혹은 판임관인 하사관이라는 관료가 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였다.
1945년 (쇼와 20년)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패전으로 구 육군과 해군이 폐지되면서, 일본에는 군대가 없고 군사 학교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군대로 여겨지지 않는 자위대를 둘러싸고 국내외에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한편, 자위대의 학교는 존재한다(자위대의 학교 등 목록 참조).
3. 1. 유럽
왕립 육군사관학교는 영국에 있는 가장 오래된 군사 학교로, 전문 지식이 필요한 포병과 공병 장교 양성 교육을 위해 18세기에 설립되었다. 영국에서는 19세기 초에 왕립 육군대학이 설립되었지만, 두 학교 모두 제2차 세계 대전과 함께 폐쇄되었고, 종전 후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로 재건되었다.[1]생시르 육군사관학교는 19세기 초에 설립되었으며, 이 학교는 일본을 포함한 많은 국가의 육군사관학교 창설 시 참고가 되었다.[1]
3. 2. 미국
미국에서는 육군, 해군(해병대 포함), 공군(우주군 포함), 해안경비대가 간부 양성을 위한 교육 기관을 갖추고 있다.[5]이러한 교육 기관 중에서도 육군사관학교(뉴욕주 웨스트포인트), 해군사관학교(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는 각각 19세기에 설립된 기관으로, 명문 중의 명문으로 여겨지고 있다.[5] 공군 창설 후에는 공군사관학교(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가 설립되어 공군과 우주군에 장교를 배출하고 있다.
병사는 영주권 소지자도 가능하지만, 사관학교 등에는 미국 시민권 보유 외에도 상원·하원 의원의 추천 등 입학 요건이 마련되어 있다.[6][7]
3. 3. 일본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무사와 그 자제에 대한 교육을 별도로 실시했다. 육군의 학교는 1868년 (메이지 원년) 음력 7월 교토부에 설치된 병학교가 시초이다.[8][9] 이 때 "병(兵)"은 병사가 아닌 군사(병학)를 의미하며, 장교와 하사관[10]을 양성했다. 이듬해 병학교는 병학소로 개칭된 후 오사카부오사카 다마쓰쿠리로 이전되었고, 다시 병학료로 바뀌어 사관생도를 교육하는 청년사와 유년생도를 교육하는 유년사로 나뉘었다. 1872년 (메이지 5년), 병학료는 도쿄부로 이전했고, 1874년 (메이지 7년) 8월에 독립하여 육군사관학교가 되었다. 폐번치현 이전에는 슨푸번 (시즈오카번)이 누마즈 병학교를 열어 번사의 자제를 교육하기도 했다.
해군은 1869년 (메이지 2년) 음력 9월, 병부성이 도쿄부 쓰키지에 해군조련소를 설치하여 해군수업생을 교육했다. 해군조련소는 이듬해 해군병학료로 개칭되었고, 1876년 (메이지 9년) 8월 해군병학교가 되었다.[8] 이후 육군과 해군 모두 많은 학교를 설치하여 교육과 연구를 실시했다. 육해군 학교는 학비가 무료였고,[11] 학생에게는 매월 수당까지 지급되었기 때문에, 자산이 없는 집안의 자제에게는 경제적 부담 없이 고등관인 육군 장교, 해군 장교, 혹은 판임관인 하사관이라는 관료가 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였다.
1945년 (쇼와 20년)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패전으로 구 육군과 해군이 폐지되면서, 일본에는 군대가 없고 군사 학교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군대로 여겨지지 않는 자위대를 둘러싸고 국내외에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한편, 자위대의 학교는 존재한다(자위대의 학교 등 목록 참조).
육군 | 해군 |
---|---|
참조
[1]
서적
事典 昭和戦前期の日本 制度と実態
[2]
문서
군대의 포함 범위
[3]
문서
육군소년학교
[4]
문서
육군/해군대학교
[5]
서적
アイビーリーグの入り方 アメリカ大学入試の知られざる実態と名門大学の合格基準
CCCメディアハウス
2014
[6]
웹사이트
STEPS FOR ADMISSION
https://www.usna.edu[...]
2021-12-29
[7]
웹사이트
Admissions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s)
https://www.westpoin[...]
2021-12-29
[8]
서적
海軍制度沿革史 巻二
[9]
서적
陸軍大学校
[10]
문서
하사관
[11]
문서
육군소년학교 학비
[12]
서적
日本陸海軍総合事典
[13]
서적
陸軍軍戦備
[14]
서적
図説 帝国陸軍
[15]
간행물
彙報 学生退校陸軍歩兵学校
1914-03-30
[16]
간행물
彙報 学生退校陸軍経理学校
1937-03-03
[17]
문서
御署名原本・大正十二年・勅令第百二十六号・海軍省官制中改正加除海軍教育本部条例及海軍建築本部令廃止
[18]
서적
事典 昭和戦前期の日本 制度と実態
[19]
서적
海軍士官を志す人の為めに
[20]
문서
現行 兵事法令集 2 服役 補充 召募之部
1930-01
[21]
서적
事典 昭和戦前期の日本 制度と実態
[22]
서적
事典 昭和戦前期の日本 制度と実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